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쓸개(담낭), 이자

by hap504094 2024. 9. 12.
반응형

1.구조
쓸개(담낭)는 7~10cm 정도의 크기로 서양배 모양의 기관이며, 간의 아래쪽 움푹 들어간 곳에 위치한다. 쓸개에서 나온 쓸개관은 간의 간관(hepatic duct)과 합쳐져 온쓸개관(총담관, common bile duct)을 이룬다. 온쓸개관의 쓸개즙은 Oddi 조임근을 통해 샘창자(십이지장)로 들어간다. 간에서 만들어진 쓸개즙 (담즙)은 쓸개에 저장되었다가 이 조임근이 이완할 때 샘창자로 들어간다.

2. 기능
쓸개는 담도계의 중요한 조절기관으로 쓸개즙의 농축, 저장, 배설을 조절한다.

1. 쓸개즙의 농축과 저장
쓸개는 50~75ml의 쓸개즙을 저장한다. 간세포는 이 저장량보다 10배나 많은 600~1,000mL를 매일 생산한다. 쓸개점막은 물과 전해질을 흡수하여 쓸개즙을 농축하고, 담즙산염, 콜레스테롤, 레시틴(lecithin), 빌리루빈 등이 포함된 쓸개즙을 5~10배로 농축하여 쓸개에 저장한다.

2. 쓸개즙 배설 조절
작은창자에서 지방을 소화할 때 cholecystokinin  (CCK)이란 호르몬이 장점막에서 유리된다. cholecystokinin은 혈류를 통해 쓸개로 들어가 쓸개벽에 있는 민무늬근(평활근)을 수축시키고 Oddi 조임근을 이완시켜 쓸개즙을 배설한다. 미주신경의 자극도 쓸개 수축을 돕는다. 샘창자(십이지장)와 빈창자(공장)에서 secretin의 라는 호르몬이 나와 간의 쓸개즙 배설을 약하게 자극하고, 음식물이 연동운동을 자극하면 Oddi 조임근은 더욱 이완된다. 이러한 요소들이 작용하여 쓸개가 수축하고 연동운동이 있을 때 쓸개즙은 쓸개에서 샘창자로 흘러 들어간다.  

이자(췌장) Fancreas

1.구조
이자는 위와 샘창자(십이지장) 가까이에 있으며, 샘창자 가까이 있는 두부(head)와 체부(body) 지라(비장)쪽에 있는 미부(tail)로 이루어져 있다. 성인의 경우 길이는 약 14cm 정도다. 이자관(duct of Wirsung)은 온쓸개관(총담관)과 함께 바터팽대부(ampulla of Vater)를 통해 샘창자로 이어진다.
  
2.기능
이자는 위장관의 부속기관으로 내분비와 외분비 기능을 모두 수행한다.

1) 내분비기능
랑게르한스섬(ILangerhans islets)에서 인슐린을 생성하여 분비한다.

2) 외분비기능
전해질, 수분, 소화 효소를 분비한다. 이는 자율신경과 위장관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의 영향을 받는다. 이자의 주 기능은 샘창자(십이지장) 내의 p 조절이며 Na, K, CI, HCO3, 등의 전해질을 분비한다. 중탄산이온(HCO3)은 장으로 들어온 산성 위액을 중화시켜 이자 분비효소들이 기능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 중화작용으로 장벽이 보호된다. 샘창자 점막에서 secretin이 분비되면 이자에서 중탄산이온이 다량 분비되어 pH를 조절한다. secretin은 이자에서 재흡수된다. 이자에서 분비하는 효소로는 프로테아제(protease, 단백질 분해효소), 아밀라아제(amylase: 탄수화물 분해효소), 리파아제(lipase: 지방 분해효소), 펩티다아지  (peptidase: 단백질 분해효소) 등이 있다. 단백질 분해효소는 이자에서 활동하지 않고 샘창자로 유입되면 비로소 활동한다. 그렇지 않으면 이자는 자체 단백질 분해 효소에 의해 분해되어 손상된다. 부교감신경(미주신경)은 이자의 분비를 증가시키며 교감신경은 분비를 감소시킨다. 미주신경의 자극 외에  cholecystokinin도 이자 효소들을 비활동성의 형태로 분비되도록 자극한다. cholecystokinin은 단백질이 있을때 샘창자에서 생성, 분비된다.

반응형